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스피
- 프로그래머스
- 파이썬
- unix i/o
- Ta-Lib
- 자료구조
- 금융데이터서비스분석가
- magic method
- 국내주식마감시황
- 코스닥
- 파이썬 함수
- 인스턴스변수
- 클래스
- 스택
- talib
- 파이썬 알고리즘
- 서울디지털인재개발원
- 파이썬 자료구조
- 차별화장세
- 파이썬정렬
- LV1
- adx
- VariableScope
- bigo
- 시스템 수준 입출력
- 퀀트매매
- 금융데이터분석
- 큐
- 금융데이터분석가
- pml4
- Today
- Total
IT Studying
WEEK1 간단한 웹개발 + 알고리즘(재귀, 정렬, 완전 탐색) 본문
1. 웹개발
My Role : 로그인 구현 및 간단한 기능 개발 몇몇
1) JWT 토큰
위는 JWT 토큰을 발급받고, 로그인했는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흐름이다. 위의 방식이 정석적인 흐름이고 추가로 Refresh토큰을 발급하여 Access토큰이 만료되었을 때, Refresh토큰을 이용하여 서버에서 Access토큰을 발급받아서 local storage에 저장해두고 다시 사용하는 방식을 취한다고 한다. 이러한 경우 API 요청 시마다 클라이언트에서 local storage에 저장된 Access토큰을 헤더에 넣어서 서버에 전달해줘야되는데, 이것을 코드로 구현하지는 못했다. 엔드포인트에 대한 요청마다 일일히 코딩을 해줘야될 거 같아서 시간이 없어서 구현하지 못했는데 내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모르겠다. 모듈화시켜서 나중에 한 번 해봐야 정확히 이해할 수 있을 거 같다. 우리가 사용한 방식은 쿠키에 저장해두는 방식이고 로그인이 필요한 요청마다 쿠키에 저장된 Access토큰을 확인하였다.
정리에 참고한 블로그 글 : https://inpa.tistory.com/entry/WEB-%F0%9F%93%9A-JWTjson-web-token-%EB%9E%80-%F0%9F%92%AF-%EC%A0%95%EB%A6%AC
https://velog.io/@chuu1019/%EC%95%8C%EA%B3%A0-%EC%93%B0%EC%9E%90-JWTJson-Web-Token
🌐 JWT 토큰 인증 이란? (쿠키 vs 세션 vs 토큰)
Cookie / Session / Token 인증 방식 종류 보통 서버가 클라이언트 인증을 확인하는 방식은 대표적으로 쿠키, 세션, 토큰 3가지 방식이 있다. JWT를 배우기 앞서 우선 쿠키와 세션의 통신 방식을 복습해
inpa.tistory.com
2. 알고리즘
1) 재귀
재귀 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이다. 솔직히 이거 이해하느라고 2일 넘게 걸린 것 같은데, 이제 조금 감이 잡힐랑 말랑하는 것 같다. 대략적으로 아래와 같은 코드 흐름
def recursive(i):
if i == n: #base case -> 재귀를 종료하는 케이스 (1)
return
else: #base case가 아니라면, 즉 추가적인 작업을 진행해야되는 상황이면
recursive(i+1) #재귀를 반복 -> 어떤식으로 함수를 반복시켜야하는가 (2)
우선 재귀를 언제 종료 시켜야될지에 대한 base case를 생각해본다.(1) 예를 들어 모든 순열의 경우의 수를 구하는 경우, 현재 구하는 경우의 수의 숫자들 갯수가 n개 일 때 종료하면 된다.
그 다음에는 재귀를 어떤 식으로 반복시킬 것인가를 생각한다.(2) 위의 순열의 예에서, 숫자 집합의 모든 것을 순회하는 for문을 돌린다. 그 다음 함수를 호출할 때, 현재 숫자를 경우의 수에 추가하고, 해당 숫자를 제거한 숫자 집합을 순회하면서 이 작업을 반복하도록 재귀함수를 호출하면 된다.
위 2가지가 재귀함수의 기본적인 구조라고 이해하였다. 추가적으로 백트래킹(조건에 부합하면 탐색)같은 여러 기법들이 있는데, 계속 연습하면서 공부해야된다. 사실 아직 재귀를 잘 이해하지 못해서 공부하면서 추가적으로 괜찮은 아이디어가 있으면 개발일지에 적도록 해야겠다.
'카이스트 정글 > 개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EK11 PINTOS WIL - VM (0) | 2024.10.22 |
---|---|
WEEK 08 카이스트 정글 PINTOS WIL(USER PROGRAM) (12) | 2024.10.08 |
WEEK07 카이스트 정글 PINTOS WIL (0) | 2024.10.01 |
WEEK2 개발일지 (0) | 2024.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