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Studying

자바 변수(1) - 변수 작성 규칙, 선언, 자료형, 사용 범위 본문

자바(JAVA)

자바 변수(1) - 변수 작성 규칙, 선언, 자료형, 사용 범위

IT wiz 2023. 1. 30. 15:40
반응형

변수란?

-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 하나의 값)

*변수를 비교한다는 것은 같은 저장 공간을 참조하는지를 비교하는 것.

ex) (s1 == s2) -> s1, s2가 같은 저장 공간을 참조하고 있는가

 

변수 작성 규칙

1. 첫번째 글자: 문자, '$', '_'만 사용 가능

2. 대소문자 구분

3. 예약어(void,return, if 등) 사용 불가

4. 한 변수를 여러단어로 구성시 첫 문자는 소문자로, 다른 단어 첫 문자는 대문자로 ex) firstName, maxSpeed

 

변수 선언

- 자바에서는 파이썬과 다르게 변수를 선언 할 때 자료형을 같이 표기 해주어야된다.

ex) int a = 5; ->( int라는 자료형을 가진 a라는 변수가 생성되고, 5의 값을 할당 받았다. )

- 대신 int a; 와 같이 값을 할당하지 않고 변수만 생성해놓을 수도 있고, 나중에 값을 할당 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 같은 타입의 변수의 경우, int a, b, c; 이런 식으로 여러 개의 변수를 선언할 수도 있다.

 

변수 자료형

- 정수 리터럴

1. 저장 가능 타입:byte, char, short, int, long

2. 0으로 시작하면 8진수, 0x로 시작하면 16진수(A,B,C,D,E,F)

 

- 실수 리터럴

1. 저장 가능 타입: float, double

2. 5E7(= 5*10^7)로 10진수 지수를 표시가능

 

- 문자 리터럴

1. 저장 가능 타입: char(하나의 문자) - 작은 따옴표

2. escape 문자: 역슬래쉬(\)가 붙은 문자 리터럴. 특수한 용도로 사용됨

- '\t' : 수평 탭

- '\n' : 줄바꿈

- '\r' : 리턴

- '\"': 큰 따옴표 

- '\'': 작은 따옴표

- '\\': \

 

- 문자열 리터럴

1. 저장 가능 타입 : String(텍스트) - 큰 따옴표

2. 문자열 리터럴 내부에서 이스케이프 문자 활용해 텍스트 생성 가능

 

- 논리 리터럴

1. 저장 가능 타입: boolean(true, false)

 

변수의 사용 범위

*변수는 중괄호 블록 내에서 선언되고 사용됨. -> 클래스, 메소드, 생성자

*로컬 변수: 메소드 블록 내에서 선언된 변수. 해당 메소드 블록에서만 사용 가능

*메소드 블록 내의 여러 중괄호 {}블록들 안에서 선언된 변수는 해당 블록 안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public class VariableScope {
    
    public static void methodA() {
        System.out.println(number); // main 메소드에서 선언된 변수 number 사용 불가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ber = 3;

        for (int i = 0; i < 5; i++) {
            System.out.println(i);
            i+= number; // main 메소드 내에서 선언된 변수 number는 어디서든 사용 가능
        }

        System.out.println(i); // for문에서 선언된 변수 i 사용 불가
    }
}

 

반응형

'자바(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제어문  (0) 2023.02.07
자바 연산자  (0) 2023.02.06
자바 변수(2) - 데이터 타입  (0) 2023.02.05
자바 JDK, JRE, JVM의 차이점  (0) 2023.01.30
Comments